본문 바로가기

日本語文法(일본어문법)/동사(動詞)

動詞どうし(동사) 반말 부정형 ない형(안 먹다, 하지 않다 등)

728x90

오늘은 동사를 [~지 않다, 안 ~다] 체로
바꾸는 동사의 반말부정형을 배워보도록하겠습니다.

일본어도 한국어와 마찬가지로
말의 끝부분을 변형시켜서
시제 표현을 만듭니다.

 

반말부정형의 크나큰 특징은

바로 끝이 [い] 로 끝난다는 점입니다.

 

오랜만에 복습 한 번 해볼까요?

 

일본어에서 [い]로 마치게 되면

어떤 특징이 있을까요?

 

그건 바로

[い]로 끝나게 되면

い형용사 취급을 한다는 것입니다.

 

い형용사가 가물가물 하신 분은

아래 링크로 다시 한 번 복습해보시기 바랍니다!

 

い형용사 <- 클릭

 

[い]로 마치게 되면

い형용사의 법칙을 따르게 된다는 것의 특이점은

먼저 반말부정형인 ない형에 대해서 자세히

살펴본 뒤에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!

 

(1) 동사의 반말 부정형(ない형)

1그룹 동사
(마지막 모음 -> [a] + ない)
わかる 알다 ---> わからない 모른다
かく 쓰다 ---> かかない 쓰지 않는다, 안 쓴다
のむ 마시다 ---> のまない 마시지 않는다, 안 마신다
あそぶ 놀다 ---> あそばない 놀지 않는다, 안 논다
2그룹 동사
(る빼고 + ない)
たべる 먹다 ---> たべない 먹지 않는다, 안 먹는다
みる 보다 ---> みない 보지 않는다, 안 본다
ねる 자다 ---> ねない 자지 않는다, 안 잔다
3그룹 동사
(불규칙이므로 암기)
する 하다 ---> しない 하지 않는다, 안 한다
くる 오다 ---> *こない 오지 않는다, 안 온다

 

예시)

わたしは にほんが わからない。

나는 일본어를 모른다.

おかあさんは ふだん おさけを のまない。

엄마는 평소에 술을 안 마신다.

わたしは もう あの ひととは あそばない。

나는 이제 저 사람과는 놀지 않는다.

おねえちゃんは アメリカの えいがは みない。

누나/언니는 미국 영화는 보지 않는다.

おとうさんは なぜか まだ ねない。

-> 아빠는 왜인지 아직 안 잔다.

わたしは こうこうせいに なってから、ゲームを しない。

-> 나는 고등학생이 되고나서 게임을 하지 않는다.

ともだちは なぜか まだ こない。

-> 친구는 왜인지 아직 안 온다.

 

(2) 동사의 반말부정형(ない형) 주의사항

 

동사 기본형의 끝이 '~う' 인 동사에 'ない'를  붙이게 되면

 'あない'가 되겠지만, 이 때는 'わない' 형태가 됩니다.

 

이 점 꼭 기억해주세요.

 

예시)

あう(만나다) -> あわない(만나지 않는다, 안 만나다)

いう(말하다) -> いわない(말하지 않는다, 안 말한다)

つかう(쓰다) -> つかわない(쓰지 않는다, 안 쓴다)

 

(3) 동사의 반말부정형(ない형)의 존댓말과 시제

 

반말부정형인 ない형을 앞서 설명하기 전에

ない형은 끝이 [い] 로 끝나기 때문에 [い형용사]의

법칙을 적용해야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.

 

い형용사의 특징을 살펴볼께요!

 

a. い형용사의 존댓말은 뒷부분에 ます를 붙인다

b. い형용사의 과거형은 い를 지우고 かった를 넣는다

 

예시)

おもしろい 재미있다 → おもしろいです 재미있습니다

おもしろい 재미있다 → おもしろかった 재미있었다

 

이처럼 동사 반말부정형 ない형 또한

똑같은 법칙이 적용됩니다.

 

예시)

たべない 먹지 않는다 → たべないです 먹지 않습니다(=たべません)

のまない 마시지 않는다 → のまなかった 안 마셨다(=のみません)

 

い로 끝나면 い형용사 취급한다!

 

꼭 외우세요!